본문 바로가기

맛있는 세상/겨울 맛

석화와 굴의 차이, 효능과 보관법 등의 석화의 모든 궁금증을 알아보자

반응형

 

겨울철 제철 음식 중 가장 사랑받고 있는 바다의 우유라 불리는 영양이 풍부한 석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.

 

 

석화와 굴의 차이

석화(石花)는 갯바위에 붙은 자연산 굴을 의미합니다. 껍질이 반쪽만 붙어 있는 것은 석화라 하고, 껍질까지 깐 것을 알굴또는 이라 부릅니다. 바닷물에서 수화식으로 자라는 것을 ’, 바위에 붙어 자라는 투석식 굴을 석화로 구분하기도 합니다. 굴은 세계 곳곳에서 많이 나며 그 종류가 80여 종에 이릅니다.

 

 

석화(굴)의 효능

장기능 강화

겨울철 석화는 글리코겐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여 더욱 영양가가 놓아지고 맛 또한 좋아집니다. 글리코겐은 우리 몸에 효과적인 에너지원으로 소화를 원활하게 해 주고 간장기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.

 

빈혈에 좋음

굴은 바다의 우유라 할 만큼 영양소가 풍부한데 그 중 구리나 철, 마그네슘 등이 풍부해서 빈혈에 좋은 음식입니다.

 

성인병 예방

굴의 EPA는 콜레스테롤수치를 낮춰주어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의 각종 성인병 예방에도 탁월합니다.

 

대장암 예방

굴의 당질은 글리코겐 형태로 소화 흡수가 잘 되기 때문에 대장암 예방에도 효과적이며, 굴에 함유된 셀레늄 성분은 대장암 세포를 억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.

 

 

좋은 굴 고르는 법

동그스름하면서 통통하게 부풀어 있는 것이 좋은 굴이고 굴껍데기가 있는 경우라면 꽉 다물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. 생굴로 먹을 때는 싱싱한 것으로 사야하며 가열조리용으로 표시된 굴은 반드시 익혀 먹어야 노로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석화 손질 법

 

석화는 겉면에 이물질들이 많이 붙어 있어서 솔로 싹싹 문질러 가며 하나하나씩 씻어 주어야 합니다. 껍질째 찐다고 대충 씻으면 찜을 할 때 석화가 입을 벌리면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. 흐르는 물에 몇 번 헹궈서 깨끗하게 석화 손질을 끝내면 되며, 석화 해감을 하기도 하는데 석화의 짭짤한 맛을 그대로 느끼시고 싶다면 해감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.

해감은 깨끗이 씻은 뒤 물에 30분 정도 담가 주면 짠맛이 빠져서 담백한 맛으로 즐기실 수 있습니다.

 

 

굴 손질 법

무가 있다면 무를 갈아서 즙을 만든 뒤 굴을 넣고, 젓가락이나 숟가락을 이용해 굴에 묻은 오물이 떨어져 나올 때까지 살살 저어줍니다. 그런 다음 체에 담아 흐르는 물에 여러 번 씻어 내면 됩니다. 무가 없다면 물을 조금 넣고 굵은 소금을 뿌린 뒤 이물질이 떨어져 나올 때까지 저어주고 흐르는 물에 씻어 냅니다.(소금 이용시 식초도 함께 넣으면 좋습니다.)

 

 

석화 찌는 법

찜기 밑 냄비에 물 넣는 곳에 해물의 비린 맛 제거를 위한 소주와 물을 약간 부어 줍니다.

찜기에 석화를 담아 준 다음 냄비의 물이 끓으면 냄비 위에 찜기를 올려 줍니다.

석화 찌는 시간은 석화의 양이나 크기, 불의 섹;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지만 대략 10~15분 정도 쪄 줍니다. 껍데기가 벌어져 있다면 성공입니다. 너무 많이 익히면 육즙이 빠져 나가 맛이 없어집니다.

 

 

굴 보관법

굴의 보관은 굴의 손질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.

씻어낸 생굴의 경우에는 빨리 먹는 것이 좋지만 다 먹지 못해 남았다면 냉장고에서 하루 정도 보관할 수 있습니다.

손질 안 한 굴은 김치냉장고에 두면 더욱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고 3~5일 정도 보관이 가능합니다.

일주일 넘게 굴을 보관해야 한다면 굴을 씻어낸 뒤 비닐팩에 물과 소금(바닷물정도의 농도)을 함께 넣어 냉동 보관합니다.

반응형

'맛있는 세상 > 겨울 맛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1~1월이 제철인 과메기를 알아보자  (0) 2023.12.07